11차
10차

업종코드 &
산업분류코드 가이드

당신의 사업 등록부터 인허가까지, 코드 하나로 제대로 준비하세요.

사업을 시작하거나 업종을 변경할 때 반드시 마주하는 두 가지 코드가 있습니다: 업종코드산업분류코드(KSIC). 이 가이드는 두 코드의 개념부터 선택 방법, 인허가·세무·지원사업과의 연관성까지 쉽고 명확하게 설명합니다.

01.
왜 이 코드들이 중요한가요?
평가 기준

평가 기준

사업자등록, 세무신고, 지원사업 신청, 인허가 심사 등에서 코드의 적정성이 평가 기준이 됩니다.

리스크 감소

리스크 감소

잘못된 코드 선택은 세제혜택 누락, 지원사업 미선정, 인허가 지연 등 리스크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AI 추천

AI 추천

본 서비스의 AI 추천은 사업 내용을 자연어로 입력하면 업종코드 + 산업분류코드를 빠르게 제안합니다.

02.
업종코드란 무엇인가요?
업태, 종목, 수익

업태, 종목, 수익

사업자의 업태(제조, 도소매, 서비스 등)와 종목(판매/제공 상품·서비스)으로 수익을 내는 방식을 나타내는 코드입니다.

6자리 숫자

6자리 숫자

일반적으로 6자리 숫자로 구성되며, 국세청 기준으로 사업자등록 및 변동 시 입력합니다.

정확한 선정 필요

정확한 선정 필요

업종코드에 따라 세율, 경비율, 지원사업 조건 등이 달라지므로 정확한 선정이 중요합니다.

03.
산업분류코드(KSIC)란 무엇인가요?
통계·정책용 분류

통계·정책용 분류

한국표준산업분류(KSIC)는 사업체의 산업활동을 유사성에 따라 유형화한 통계·정책용 분류체계입니다.

다단계 체계

다단계 체계

대분류 → 중분류 → 소분류 → 세분류 → 세세분류 체계로 구성되며, 사업체가 속한 산업을 보여줍니다.

업종코드와 함께

업종코드와 함께

인허가, 통계작성, 산업구조 분석, 정책지원사업 등에서 널리 활용되므로 창업자는 업종코드와 함께 KSIC도 고려해야 합니다.

04.

업종코드 vs 산업분류코드 _ 차이점 한눈에 보기

항목 주관 기관 목적 코드 체계 적용/활용 변경 가능성
업종코드 국세청 사업자등록 · 세무관리 6자리 숫자(업태+종목) 사업자 등록 시 입력 매년 주기적 개정
산업분류코드(KSIC) 통계청 산업통계 · 정책분석 5자리 숫자(5단계 분류체계) 인허가, 지원사업, 통계자료 활용 시 참조 산업구조 변화 시 주기적 개정

* 실제 기준은 매년 개정될 수 있습니다.

05.

업종코드 및 산업분류코드 선택 시 체크포인트

사업 내용 예시
사업 내용

제품·서비스, 판매방식, 대상 고객을 명확히 정의했나요?

활동 구조 예시
활동 구조

단일 활동인지 복합인지? 주업종+부업종 구성이 필요한가요?

외부 요건 예시
외부 요건

지원사업·인허가에 요구되는 특정 코드가 있나요?

미래 확장성 예시
미래 확장성

향후 사업 확장을 고려한 코드 선택인가요?

AI 도구 예시
AI 도구

본 서비스의 AI 업종코드 + KSIC 추천을 활용해 보셨나요?

06.

코드 변경 또는 추가가 필요할 때

사업 형태 변경·신규 사업 추가 시 업종코드/KSIC 변경 또는 추가 등록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변경·시점·신고 절차·비용을 미리 파악해 준비하세요.

정부/지원사업의 변경 기준(예: 매출비중 변화)을 사전에 확인하세요.

07.

AI 추천 기능의 사용 방법 안내

사업내용을 자연어로 자세하게 입력하세요.

AI가 키워드를 분석해 추천 업종코드 + KSIC을 제안합니다.

제안된 코드로 사업자등록/인허가 서류를 준비합니다.

필요 시 코드 비교·변경 가이드를 제공합니다.

본 가이드는 이해를 돕기 위한 요약 자료입니다. 실제 분류·인허가 적용은 소관 기관의 최신 고시에 따릅니다.